금융노조 보궐선거로 인해 노측 대표 발언자로 나선 김진홍 신한은행지부 위원장은 “현재 대한민국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나 어려운 시기를 지나고 있고, 금융산업 역시 예외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이번 교섭이 금융인들의 자부심을 한층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우리 조합원들은 금융권의 퇴직금, 경영성과급 등을 악의적으로 다루는 언론과 정부에서 선심성으로 쏟아내는 정책상품들로 인해 현장에서 고난과 피로를 온몸으로 견뎌내고 있다. 앞에 계신 조용병 금사협 회장님과 행장님들 역시 이 같은 고충을 잘 알고 계실 것”이라며 “2024년에는 노사 양측이 모두 열린 마음으로 교섭에 임하길 바란다”고 힘주어 말했다.
박만 광주은행지부 위원장은 “교섭에 나서는 금융노사는 상호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양측 모두의 실질적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금융권을 악마화하고 노동의 가치를 폄훼하는 윤석열 정권하에서는 더욱 노사가 협력해야 한다”며 “교섭에 최선을 다해 임하겠다”고 했다.
김현준 한국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이번 교섭은 외부의 시선과 질타에 흔들리지 않고 조합원들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결단을 내리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최근 산은캐피탈이 금융노조 식구가 된 만큼, 산은캐피탈 사측 역시 이른 시일 내 사용자협의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힘써주길 바란다"고 피력했다.
김정 KB국민은행지부 위원장은 “현재의 금융산업은 외적으로는 정부의 과도한 간섭, 내적으로는 무거운 실적 압박 등으로 힘겨운 상황이다. 무릇 경영자라고 하면, 소속 직원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행장님들께서는 이번 교섭에 노동자들의 입장을 최대한 반영해 직원들로부터 존경받는 리더로 자리매김 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재영 금융결제원지부 위원장은 “2024년은 임금과 산별교섭이 동시에 진행되는 해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노사가 의지를 발휘해 서로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함께 해법을 찾아 나선다면 그 어느 때보다 화기애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노사 모두의 고민이 해결되는 자리가 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사측 교섭대표인 조용병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 회장은 “현재 우리 금융산업을 둘러싼 환경이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노사가 상호 신뢰와 존중의 정신을 바탕으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한편, 우리에게 주어진 금융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해 나가야 한다”면서 “올해 교섭이 더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섭 횟수나 형식 등에 구애받기보다 임원급 교섭, 실무교섭 등 여러 가지 교섭 방안들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노사는 2차/3차 교섭을 각각 5월17일/6월17일 순으로 이어가기로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