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금융회사 기후금융 현황과 평가, 기후연금 캠페인, 녹색단협 등 논의 - 박홍배 위원장, "기후위기 대응 위해 양대노총 금융공투본이 더 힘 내고 지혜 모을 것"
양대노총 금융노조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금융노조는 11월 14일(화) 오전 9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금융회사의 기후금융 방향과 노동조합의 대응과제'를 주제로 사무금융노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플랜 1.5, 김성주 국회의원실과 토론회를 공동개최했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ESG 경영을 비롯한 금융기관의 사회적 의무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며 "입법을 통해 기후금융이 제도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임동근 사무금융노조 사무처장은 "세계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도 기후위기 고위험 사업에는 투자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며 "국내 금융기관도 기후관련 규제와 이로 인한 리스크를 고려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노동조합이 먼저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은 "소득 상위 계층이 탄소 다배출 산업에 투자해 기후변화를 초래하고, 그 피해는 사회적 약자들이 입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말한 뒤, "한국 금융회사들의 기후위기 대응은 여전히 '그린워싱'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금융노조는 단협에 '사용자가 저탄소 친환경 금융원칙을 실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며 "내년에는 '탄소배출량 감축 및 환경 파괴 사업에 대한 금융 축소'와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 가입과 6대 원칙 준수'를 요구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사무금융노조와 함께 결성한 양대노총 금융공투본이 더 힘을 내고 더 지혜를 모으겠다"고 강조했다.
첫 발제는 박지혜 플랜 1.5 변호사가 맡았다. 박 변호사는 '국내 금융회사의 기후금융 현황과 평가'를 주제로 5대 금융지주사·10대 자산운용사·퇴직연금사업자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내용은 ▲단기/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금융배출량 관리 목표 ▲투자 제한정책 및 관련 투자 현황 투자 촉진정책 및 관련 투자 현황 ▲기후위기 관련 능동적인 스튜어드십 정책 수립 및 시행 여부 ▲주요 기후금융 투자상품 목록 및 세부 투자 내역 등 5가지 항목이다. 박 변호사는 "지주사 중심 금융배출량 산출 및 감축목표 선언, 탈석탄방침 수립, ESG투자 정책이 확산중이지만, 배출량을 산출하고 감축계획을 수립한 자산운용사/퇴직연금사업자는 매우 소수"라고 말했다. 지주사에서 선언한 기후정책의 이행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이어 "기초적인 배출량 공시부터 투자목표이행계획, 기후금융상품 투자현황까지 보다 세밀한 공시가 필요하다"면서 "규제기관이 보다 적극적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두번째 발제는 '노동조합의 기후연금 캠페인 제안'을 주제로 윤세종 플랜 1.5 변호사가 발표했다. 윤 변호사는 "우리 금융산업의 기후대응방식이 여전히 탈석탄투자에 머무르고 있다"고 비판한 뒤 "노동자의 소유이며 초대형 자산인 퇴직연금을 통해 기후대응을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기후연금 캠페인'으로 명명한 윤 변호사는 ▲기후대응 목표에 맞는 금융배출량의 감축 목표 제시 및 지속적인 공시/보고 ▲화석연료 사업 등 탄소집약적 사업에 대한 투자 중단 ▲기업의 기후대응 요구를 위해 주주권 행사 ▲위 기준을 충족하는 다양한 투자상품 개발 및 운용을 요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국의 <Make My Money Matter>와 미국의 <Work for Climate>에 대해 소개했다.
한재각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이 '녹색단협 현황 및 노동조합의 과제'를 주제로 세번째 발제를 맡았다. 한 위원은 영국, 캐나다, 프랑스 노동조합의 활동을 소개하며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금융산업 노동조합의 녹색단협을 제안했다. 이어 민주노총과 사무금융노조의 기후위기 대응 활동 사례를 설명하고, '금융배출량' 논의를 바탕으로 모범 녹색단협안을 제안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금융배출량’ 개념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전략 수립 ▲조합원들의 인식 조사, 조합원 교육 및 간부 교육 ▲기후운동 진영과의 교류 등을 포함한 폭넓은 사회적 연대 기반의 구축 ▲산업 및 단사 차원의 노사공동선언 및 녹색단협운동 선포 ▲대정부/국회 정책 및 제도 개선 요구 및 투쟁 등 전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장이 사회를 맡은 토론에는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국장과 안기빈 금융위원회 사무관이 참여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에 대해 논의했다.
금융노조는 이번 토론회를 바탕으로 사무금융노조와 함께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