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가 7월 24일(월) 오전 11시, 국회 정문 앞에서 <대표이사 공석사태 1년 한국금융안전 정상화 규탄>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여전히 한국금융안전에 정치권의 입김이 작용 중인지 의문”이라며 “김소영 부위원장은 계속해서 자신과의 친분을 주장하는 김석과의 관계를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이복현 금감원장도 감독권이 없다는 주장만 반복할 것이 아니라 금융 안전성을 위협하는 김석의 배임행위 등에 대해 조사해야한다”며 “은행들은 매년 1조 원 내외로 사회공헌을 한다면서도 지분 60%를 보유하고 있는 한국금융안전에 대해 상생이 아닌 최저입찰제를 고집해 폐업 위기로 내몰고 있다. 조속히 주주권을 행사해 회사 경영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동훈 금융노조 한국금융안전지부 위원장은 “최근 협상 테이블에서 김석 대표이사와 사측은 지난 5월 초 진행된 결산에서 한국금융안전이 소액의 흑자를 냈다고 자화자찬했다. 사측의 주장을 믿을 수 없어 사태 파악을 했더니, 고용불안으로 회사를 그만둔 직원들이 늘어나 인건비가 절감된 것”이라면서 “생존권 위협으로 조직을 떠난 직원들의 인건비가 절감된 것을 자신들이 경영을 잘해 흑자를 기록했다고 주장하는 파렴치한 모습을 더는 지켜볼 수 없다. 다시 한번 정치권과 주주은행에 한국금융안전의 정상화를 위해 올바른 판단을 내려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김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노총 위원장 때도 한국금융안전 문제로 박홍배, 이동훈 위원장님과 많은 고민을 했는데,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고 있지 않아 안타깝다. 한국금융안전이 우리나라 현금 수송을 위해 선두에서 고생한 대가가 최저임금과 고용불안인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사태 해결을 위해서 국회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주주은행들의 소극적인 태도를 비판했다. 이 의원은 “한국금융안전 노동자들의 고용 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주주은행들의 결단이 필요하다”면서 “한국금융안전 1천여 명의 노동자들에 대한 고용불안과 인권, 노동권, 생명권을 짓밟는 행위에 대해서는 환노위 차원에서 분명히 책임을 묻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들의 지지 발언도 이어졌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대표는 “IT 산업이 아무리 발전했더라도 현금수송은 없어서는 안 되는 업무이다. 현금수송 인원을 지속해서 줄일 경우 국가적 금융사고도 예상해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고 주주은행들이 나서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라”고 규탄했다.
김주호 참여연대 사회경제1팀장은 “한국금융안전에서 현금수송을 담당하시는 분들 덕분에 온라인 뱅킹을 이용하기 어려운 금융 취약계층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은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고 꼬집으며, “주주은행들은 현금수송업무가 원활히 운영되도록 지원할 책무가 있다. 주주로서의 권리뿐만 아니라 맡은 책무도 함께 다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문 낭독은 이동훈 금융노조 한국금융안전지부 위원장, 우석원 한국평가데이터지부 위원장, KB국민은행지부 김정 위원장이 맡았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한국금융안전은 지난 30여 년간 대한민국 현금수송업계를 선도해 왔으나, 2019년 김석이 대표이사에 취임한 이후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해 유동성 부족으로 인한 임금체불 직전에 내몰리는 등 1천여 직원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 김석 권한대행은 임기가 만료된 이후에도 현재까지 이사 및 권한대행으로 시중은행이 발주하는 수주계약 갱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주주은행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등 비정상적인 경영행태로 한국금융안전원에 대한 대외 평판을 크게 훼손시켰다”면서 “더 이상 정치권력의 힘을 등에 업은 채 경영을 장악하고 건실한 회사를 위기 상황으로 내모는 김석의 횡포를 두고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김석 권한대행이 1년 여의 대표이사 공백으로 한국금융안전의 경영악화를 더욱 가속시키고 있지만, 시중은행과 국책은행 등 주주은행들은 여전히 대표이사 선임을 위한 주주권 행사를 외면하고 있다”며 “기업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은 공공성과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지난 32년간 자신들의 부수업무 수행을 위해 최선을 다한 한국금융안전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해 대표이사 추천 주주권 행사에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한편 금융노조는 한국금융안전 정상화를 위한 투쟁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