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노조가 11월11일(토) 여의대로에서 열린 ‘2023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 참석해 윤석열 정권 심판과 노동탄압 저지를 힘차게 외쳤다. 대회에는 금융노조 본조 및 지부 간부와 조합원 4천여 명이 함께 했다.
대회는 임금체불로 투쟁 중인 금속노련 위니아전자노조 강용석 위원장의 현장발언과 전세사기로 고통받고 있는 이철빈 전세사기 깡통전세 피해자 전국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의 연대발언을 시작으로 ▲대회사 ▲중앙투쟁선봉대 투쟁발언 및 투쟁가 제창 ▲투쟁사 ▲투쟁결의문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동개혁은 결국 장시간 착취 노동으로의 회귀, 자주적 조직인 노동조합에 대한 권력의 통제와 간섭, 노조에 대한 혐오주의 확산과 고립을 통한 노동운동에 대한 공격밖에 없었다”며 “이러한 정부의 거짓 개혁에 맞서 저항하고 투쟁하는 건 우리의 정당한 권리”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노동자대회를 맞아 윤석열 대통령과 정부에 마지막으로 요구한다”면서 “지난 30년간 사회적 대화를 이끌어 온 한국노총의 노동자 대표성을 인정하고, 노동정책의 주체로서 한국노총의 존재를 인정하라”고 강조했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과 정정희 공공연맹 직무대행, 최철호 전력연맹 위원장도 투쟁사를 통해 총력투쟁 의지를 밝혔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은 “수많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고 있는 손배가압류 폭탄을 막기 위해 노조법 2‧3조는 반드시 개정되어야 한다”고 했다.
정정희 공공연맹 위원장 직무대행은 공공기관 민영화와 직무성과급 도입을 규탄하고, 공무직 처우 개선을 위한 공무직위원회 부활을 촉구했다.
최철호 전력연맹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가 전력산업을 민영화하려고 한다”면서 “비전문가들이 결정하고 공무원들이 부화뇌동하는 사이 공기업에게 정책실패의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 이러한 일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날 노동자대회 참석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모든 노동자의 노조할 권리보장과 노동기본권 강화 ▲타임오프 노사자율 쟁취 ▲사회연대입법 제정 ▲공적연금 개악 저지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공공부문 민영화 및 구조조정 저지 등을 결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