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등 정당도 연대 - 김형선 위원장 “무고한 직원에게 책임 전가한 경영진, 퇴진이 마땅”
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는 4월 16일(수) 오전 ‘임단투 필승 및 조직 사수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2024년 임단투가 4개월째 제자리걸음을 반복하고 있는 현실과 더불어 경영진에 부당대출 사태의 책임을 묻고 전면 사퇴를 촉구하기 위함이다.
기업은행지부는 앞서 4월 2일, 882억 원 규모의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김성태 은행장이 책임을 직원들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며 ‘현장 혁신안 10가지’를 발표한 바 있다. 혁신안에는 ▲경영진 총사퇴 및 책임자 엄중 문책 ▲중기대출·창업기업·기술금융 KPI 폐지 ▲무한경쟁 유발 가산점 폐지 ▲부당지시자 엄중 처벌 및 취급자 면책 제도 도입 ▲부당대출 신고시 노조 포함 진상조사위원회 개입 ▲법률·심리상담 지원 제도 마련 ▲퇴직직원 자회사 및 협력사 낙하산 인사 근절 ▲골프 등 접대성 친목 모임 전면 금지 ▲법무사 배정 시스템 도입 및 유착 발각시 엄중 처벌 ▲여신 심사부서 완전한 독립 부서로 전환 등이 포함됐다.
대회사에 나선 류장희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오늘 결의대회는 기업은행의 노동환경은 물론, 은행의 미래를 바꾸는 투쟁”이라며 “이 자리를 시작으로 경영진의 사퇴를 공식적이고 공개적으로 반드시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이어 “노동자의 정당한 요구는 외면하면서, 뒤로는 부당대출이라는 중대한 사고를 저지른 경영진이 그 책임마저 현장 노동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며 “경영진은 목숨을 부지하고 싶다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노동자의 눈물을 닦아줄 대안을 제시하라”고 경고했다.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기업은행 노동조합 위원장 출신으로서, 은행 창립 이래 이렇게 심각한 부당대출 문제가 불거진 적은 없었다”며 “김성태 은행장은 취임 당시 ‘튼튼한 은행, 반듯한 금융, 행복한 조직’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지만, 지금의 기업은행이 그 약속을 지키고 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자신의 책임은 외면한 채 무고한 직원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은행장은 퇴진하는 것이 마땅하다”며 “지치지 말고 더 단단하게 힘을 모아 끝까지 싸우자”고 강조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도 현장을 찾아 연대의 목소리를 전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노총은 금융노조 김형선 위원장, 기업은행지부 류장희 위원장과 함께 기업은행 경영진의 전면 퇴진을 위해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어 “기업은행 직원분들이 아직 받지 못한 추가 보상금도 즉각 지급될 수 있도록 강력히 투쟁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현장에는 금융노조 지부대표자 및 상임간부, 기업은행지부 조합원 등 1,500여 명이 참석해 열기를 더했으며, 더불어민주당 정태호·박홍배 의원, 조국혁신당 차규근·신장식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도 자리해 연대의 뜻을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