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 4일제 도입 ▲퇴근 후 연결되지 않을 권리 등 4대 요구안 제시 - 김형선 위원장, “주 4일제, 가족·돌봄·지역공동체 회복 위한 해법”
주 4일제 도입과 노동시간 단축을 제21대 대선 공약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4일제 네트워크’는 4월 29일(화) 오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주4일제 도입 및 노동시간 단축 4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현장에는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을 비롯해 본조 간부 10여 명이 함께했다.
이날 발표된 4대 요구안은 ▲주 4일제 도입 ▲장시간 노동 해소와 모든 노동자 쉴 권리 보장 ▲국제적 기준의 연차휴가 확대 및 가족돌봄휴가 유급화 추진 ▲퇴근 후·휴일·휴가 기간 '연결되지 않을 권리' 도입 등이다.
김종진 일하는시민연구소 소장은 “1919년 국제노동기구(ILO)가 1호 협약으로 채택한 ‘1일 8시간, 주 48시간제’가 10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며 “이제는 지난 100년의 노동 체제를 넘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주 4일제와 노동시간 단축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어 “제21대 대선에서 주 4일제와 노동시간 단축이 반드시 채택돼 시민들의 보편적인 삶이 회복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형선 위원장은 현장 발언에서 “대한민국은 저출생, 지역소멸, 노인빈곤 등 복합적 위기에 처해 있다”며 “1930년대 미국이 뉴딜정책을 통해 주 6일제를 주 5일제로 전환하며 위기를 돌파했던 것처럼, 우리도 과감하게 주 4일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는 단순한 노동시간 단축이 아니라, 가족과 돌봄,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해법”이라며 “금융노조는 더 나은 삶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주 4일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한국의 주 48시간 이상 장시간 노동자 비율은 17%로, EU 평균인 7.3%의 두 배를 넘는다”며 “최근 5년간 국내 뇌심혈관질환 공식 사망자만 2,418명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 이제는 노동시간 단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디지털·플랫폼 산업과 AI 도입 등으로 산업 구조와 노동 방식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노동시간 체제도 이에 맞게 전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