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조·지부대표자·상임간부·조합원 등 1500여 명 집결 -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정책협약식도 참석
금융노조가 5월 1일(목)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열린 한국노총 전국노동자대회에 참여해 ‘내란세력 청산! 민주주의 회복! 사회대전환 실현!’을 선언하며 투쟁 의지를 드높였다. 현장에는 김형선 금융노조 위원장을 비롯해 본조와 지부대표자, 조합원 1500여 명이 함께했다.
대회는 류장희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의 현장발언으로 시작됐다. 류 위원장은 “기업은행 노동조합은 임금 차별과 임금 체불을 바로잡기 위해 140일 넘게 천막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기업은행은 상장회사인 동시에 기재부와 금융위의 통제를 받는 이중적 지위 속에 동일 노동 대비 70% 임금 차별과 1인당 600만 원 야근 수당이 체불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원흉은 헌법상 권리인 단체교섭권마저 빼앗는 ‘총액인건비제’이다. 기업은행 노동조합은 반노동적·반헌법적인 이 제도를 무너뜨리기 위해 더욱 처절하게 싸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회사에 나선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대선이라는 가장 중요한 정치적 공간 속에서 노동운동이 대선에 공세적으로 개입하고 우리의 주장을 높이 외치는 건 노동조합의 당연한 의무”라며 “지금은 내란세력을 완전히 제압하면서도 차기 정부의 출범에 맞춰 강력한 개입과 견제를 준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노총은 150만 조합원과 2,500만 전체 노동자를 대표해 당당하게 우리의 목표를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언제라도 투쟁을 마다하지 않겠다”면서 “노동이 만드는 정의로운 사회대전환을 목표로 5월을 돌파하고, 새 정부 출범 이후 구체적인 법제도 개선의 성과를 만들기 위한 투쟁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대회 참석자들은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노동이 존중되는 평등복지국가 건설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나아갈 것”이라면서 ▲모든 차별과 혐오에 넘어서 5인 미만 근기법 적용, 일하는 사람과 기본법 제정, 동일노동 동일임금 원칙 명문화,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등을 담은 사회연대 입법 쟁취를 위해 총력투쟁할 것 ▲모든 노동자의 노동기본권 강화를 위해 노조법 제2·3조 개정, 장시간·압축노동 근절을 위한 주4일제 전면도입, 공무원·교원 정치기본권 보장, 초기업별 교섭체계 구축 및 단협효력 확장, 아프면 쉴 권리 보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총력투쟁할 것 ▲모든 시민의 안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정년연장 법제화, ILO 사회보장 최저기준 협약, 사회보장 사각지대 해소, 공적연금 강화, 돌봄기본법 제정,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를 위한 총력투쟁에 나설 것 ▲노동이 존중되는 사회를 만드는데 앞장설 친노동정권을 수립하고 나아가 노동자와 시민의 손으로 쓴 사회대개혁 과제가 무너지지 않도록 연대와 단결을 바탕으로 총력투쟁할 것 등을 결의했다. 결의문 낭독은 허선미 KB국민은행지부 부위원장이 맡았다.
금융노조는 결의대회에 앞서 ‘한국노총-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 정책협약식’에 참석했다. 한국노총은 지난 29일(화) 임시대의원대회에서 ‘21대 대통령선거 한국노총 대응 방침 결정의 건’에 대해 금융노조를 포함한 회원조합 및 지역본부 대의원투표를 진행한 결과, 민주당(89.73%)을 지지정당으로 결정했다.
이날 체결한 정책협약서에는 ▲사각지대 없는 보편적 노동권 보장 ▲노조할 권리보장 및 사회연대 교섭체계 확립 ▲65세 정년연장 법제화 및 지속가능한 일자리 사회안전망 구축 ▲주4.5일제 도입 및 장시간 노동근절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사회보장제도 확대 개편 ▲공적연금, 돌봄 서비스, 보건의료의 공공성과 국가책임 강화 ▲노동 존중 헌법개정 및 경제민주화 실현 등이 담겼다.